창대서원
[昌臺書院]
한자 | 昌臺書院 |
분야 | 교육/교육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 |
성격 | 서원 |
건립시기/연도 | 1786(정조 10)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과전동 |
집필자 | 이동춘 |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과전동에 있는 서원.
[내용]
1786년(정조 10)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정대임(鄭大任)과 정제(鄭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뒤 1955년 유림의 공의에 따라 영천시 녹전동 창대리에서 지금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신문(神門), 4칸의 중정당(中正堂), 3칸의 유의재(由義齋), 2칸의 흥문당(興文堂), 2칸의 한존재(閒存齋), 2칸의 역락재(亦樂齋), 전사청(典祀廳), 신도비각(神道碑閣), 고사(庫舍), 2칸의 서고(書庫), 안정문(安正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정대임과 정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중정당은 강당으로,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토론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전사청은 향례 때 제수(祭需)를 마련하여두는 곳이다.
동재(東齋)와 서재(西齋)인 유의재와 흥문당은 유생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3월 상정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 주역에는 6변(籩)6두(豆), 배향에는 4변(籩)4두(豆)이다. 유물로는 은환도(銀丸刀)·옥각대(玉角帶)·지도·전투복 등이 있으며, 재산으로는 전답 8,000평, 임야 150정보 등이 있다.
창대서원 강당
창대서원 동재
창대서원 정문 충의문
창대서원 정문 충의문 / 昌臺書院 忠義門
현판/글쓴이 鄭勳杓
현판/글판각 張炳湖
창대서원 신도비
창대서원 충현사
창대선생 묘우(昌臺先生 廟宇) 창대서원에 위치한 묘우(사당)는 주향 임진란시 영천의병대장 창대공 정대임 장군과 공의5세손 학문과덕행이 드높은 남창공 정제.증관문과 에 급제하여 사현부 지평 .청양군수.동래부사.경주부윤.승지 에 리르럿고 나라에서 淸白吏 로 선정된 명고공 정간 . 3분의 위폐를 봉안한 사당이며 매년 춘향(음력3월첫 정일)제를 올린다. 충현사의 문짝4장은 230여년(1777년) 전 舊창대서원 (녹전동 창년곡)설치되었던것을 서원 회철후 보관해 오다가 해방후 서원을 이건할때 재 사용한 것이다.
창대서원 위치
경북 영천시 과전동 18-3/창대서원1길 9-18